책(book)194 《내 눈 안의 너》 바스티앙 비베스 지음, 그레고리 림펜스 옮김 '아까 학교에서 봤을 때부터 키스하고 싶었어. 계속 계속 이야기만 했지. 나한테 키스 안 해주더라.' 도서관에서 공부하던 그녀, 그녀의 눈안의 너는 그녀를 계속 바라보고 있었지. 막그녀와 그녀 눈 안의 너, 너희 두 사람은 이제 막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는구나. 함께 공부를 하고, 함께 밥을 먹기도 했지. 어느 날 그녀는수업이 끝나는 시간에 맞춰 무작정 너의 강의실 앞으로 향했지. 그날 함께 갔던 영화관에 가서 첫 키스를 나누고 그녀와 너는 사랑하게 되었지. 프랑스 출신으로 유럽을 대표하는 그래픽 노블 작가인 바스티앙 비베스는 스물 두살 때 을 발표해 만화가로 정식 데뷔를 했습니다. , ,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세밀한 묘사를 통해 미묘한 감정 변화를 보여준다. 특히, .. 2024. 5. 15. 《햇볕 쬐기》 조온윤, 창비시선 0470 묵시 내가창가에 앉아 있는 날씨의 하얀 털을한 손으로만 쓰다듬는 사람인가요?그렇지않습니다 다섯개의 손톱을 똑같은 모양으로 자르고다시다섯개의 손톱을 똑같은 모양으로 자르고 왼손과 오른손을 똑같이 사랑합니다 밥 먹는 법을 배운 건 오른손이 전부였으나밥을 먹는 동안 조용히무릎을 감싸고 있는 왼손에게도식전의 기도는 중요합니다 사교적인 사람들과 식사 자리에 둘러앉아뙤약볕 같은 외로움을 견디는 것도침묵의 몫입니다 혼자가 되어야 외롭지 않은 혼자가 있습니다 밥을 먹다가왜 그렇게 말이 없냐고말을 걸어오면말이 없는 이유를 생각해보다말이 없어집니다 다섯개의 손톱이 웃는 모양이어서다섯개의 손톱도 웃는 모양이라서나는 그저 가지런히 열을 세며 있고 싶습니다 말을 아끼기에는나는 말이 너무 없어서사랑받는 말을 배우고 싶다고말한 적.. 2024. 5. 15. 《엄마는 해녀입니다》 글 고희영, 그림 에바 알머슨, 번역 안현모 다큐멘터리 영화감독 고희영은 제주가 고향입니다. 고향 바다에는 해녀들이 있었습니다. 바다를 농부처럼 가꾸는 사람, 바다의 것을 빼앗아오지 않는 사람, 바다와 함께 사이좋게 살아온 사람, 그 해녀들에 대한 이야기를 세계 어린아이들에게 일리기 위해 를 만들었습니다. 스페인 출신 화가인 에바 알머슨은 우연히 집어 든 잡지를 통해서 제주 해녀를 처음 접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2016년 5월 제주도를 찾아 물질하는 해녀를 목격하였다고 합니다. 그해, 9월 고희영 작가, 김형선 사진작가와 함께 제주 우도를 방문한 계기로 을 함께 작업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오늘 하루도 욕심내지 말고, 딱 너의 숨만큼만 있다 오거라." 2024. 5. 12. 《제주에는 소원나무가 있습니다》 이보경 돌 많고 바람 많은 아름다운 섬,1만 8천여 신이 모여 사는 신들의 섬 제주에는마을마다 굳세게 자리를 지키고 선 커다란 나무가 있습니다.모든 것을 다 품어 주는 할머니 품처럼 넉넉한 그늘을 드리우는 나무,마을 사람들과 함께 제주의 모진 바람을 참고 견뎌온 나무,가지마다 걸린 마을 사람들의 간절한 바람을 품고 있는 나무,그래서 마을 사람들의 마음을 누구보다 잘 아는 나무.어제도 오늘도 우리 마을 팽나무에는모두의 안년을 바라는 사람들의 간절한 소원이가지마다 하얗게하얗게 꽃처럼 피어 있습니다.- 이보경 이보경 작가님은 상품패키지, 기업체 사보, 광고 등에 그림을 그리는 일러스트레이터로, 그림책 전문 서점인 제주 사슴책방의 책방지기로 활동하며 흰 강아지 대운이와 함께 제주도 한라산 중산간마을에서 살고 있다고.. 2024. 5. 12. 《최재천의 공부》 최재천•안희경 시인의 마음으로 생태계를 탐구해온 최재천 교수. 최재천 교수와 안희경 작가가 나눈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공부에 관한 이야기.삶을 즐길 권리“우리 모두 이 순간부터 우리 아이들을 입시학원애 보내지 맙시다.”“우리 모두 이 순간부터 우리 아이들에게 삶을 즐길 권리를 되찾아줍시다”“우리 모두 이 순간부터 정상적인 가족생활울 누립시다.”지금 부모 세대는 학생 인권이란 게 존재하지 않던 시절에 학교를 다녔습니다. 진정한 인권 회복은 학생으로 사는 시간도 인간답게 살 수 있어야 비로서 실현됩니다. 인생의 5붕의 1을 다가올 인생을 위해 희생하며 사는 게 인권 차원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십니까? 저는 인생 전체를 온전히 사란답게 살 권리가 우리 모두에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부해서 남 주면 안되나요? 서로가.. 2024. 5. 11. 《벌거숭이 바다》 구자운, 창비시선 0008 龜裂(균열) 그건어떤 깎고 닦은 돌 面相(면상)에 龜裂(균열)진 금이었다.어떤 것은 서로 엉글어서 楔形(설형)으로 헐고어떤 것은 아련히 흐름으로 계집의 裸體(나체)를 그어놨다.그리고 어떤 것은 천천히 구을려또 裸體(나체)의 아랫도리를 풀이파리처럼 서성였다. 나는 잠시 생각에 잠겼다.이러한 龜裂(균열)진 금의 아스러움이 그렇다, 이건 偶發(우발)인지 모르지만내 늙어 앙상한 뼈다귀에도 서걱이어때로 나로 하여금허황한 꿈 속에서 황홀히 젖게 함이 아니런가? 고, 구자운 시인은 1955년 서정주 시인의 추천으로 문단에 등단했습니다. 모더니즘이 팽배했던 1950년대 문단에서 한국 전통시의 서정성 회복을 위해 애썼다고 합니다.1960년을 기점으로 이후 탐미적인 시, 언어적 세련미 추구 경향에서 현실적.. 2024. 5. 9.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3 다음